재귀
작성
에 첫 작성. 에 인명을 한글 발음으로 대체.
재귀(recursion)는 통상적으로는 자가 참조(self-reference)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서 이 문단에는 한글만 세어서 일흔 두개의 글자와 스물 네개의 낱말이 있다. (이러한 식의 자가 참조를 오토그램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재귀와 자가 참조는 다르다. 수학과 프로그래밍에서 재귀는 귀납적인(inductive) 구조를 이른다. 이를테면 페아노 공리에 따라 0을 포함하는 자연수는 다음과 같이 재귀적·귀납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바탕 단계: 0은 자연수이다.
귀납 단계: n이 자연수이면 S(n)은 자연수이다.
그러니까 우리가 1, 2, …라고 부르는 것은 S(0), S(S(0)), …을 줄여 부르는 것이다.
유일성: 위 단계들을 유한번 적용해서 얻을 수 있는 것만 자연수이다.
만약 이 단계 중 하나라도 빠지거나 잘못 되어 있으면 귀납적인 구조가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바탕 단계가 빠져 있을 경우 자연수는 0부터 시작할 수도 있고, 1로부터 시작할 수도 있고, -0.5로부터 시작할 수도 있으며, 아예 하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유일성 조건이 남아 있다면 이 해석이 선호될 것이다). 귀납적인 구조는 (설령 그 결과가 무한하더라도) 그 의미를 하나로 확정지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데, 자가 참조만으로는 그런 유용성을 보장할 수 없다.
더 나아가서, 슈리람 크리스나무르티(Shriram Krishnamurthi)는 〈재귀를 가르치지 않는 방법〉이라는 글에서 재귀를 가르치는 데 흔히 쓰는 예시들이 엉터리라는 것을 지적한다. 그는 유용한 재귀를 크게 문제 자체가 (트리와 같이) 자연스럽게 재귀적으로 기술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generative recursion) 둘로 나눌 수 있다는 걸 지적하며, 전자에 해당하는 귀납적인 구조를 먼저 가르치고 후자를 나중에 가르쳐야 한다고 지적한다. 동감하는 바이다.